전체 글11 셔츠 뒷목 루프, 단순 장식이 아닌 숨은 기능의 역사 우리가 입는 옷에는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디테일들이 숨어 있습니다. 오늘은 셔츠 뒷목 루프의 숨은 기능의 역사를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셔츠를 입을 때 뒷목 부분을 자세히 보면, 작은 천 고리 같은 것이 달려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이것을 단순히 디자인적인 장식이라고 생각하고, 또 어떤 사람은 세탁소에서 옷걸이에 걸기 좋으라고 달아놓은 것이라 여깁니다. 하지만 사실 이 작은 루프(loop)에는 역사적인 배경과 실용적인 목적이 담겨 있습니다.셔츠 뒷목 고리는 흔히 ‘locker loop’(로커 루프)라고 불립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이 디테일은 단순히 멋을 내기 위해 달린 것이 아니라, 과거 생활 방식에서 비롯된 실질적인 필요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그 시작은 바로 사물함(locke.. 2025. 8. 22. 볼펜 뚜껑의 작은 구멍, 생명을 지키는 숨은 장치 오늘은 볼펜 뚜껑의 생명을 지키는 숨은 장치, 작은 구멍에 대해서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1) 볼펜 뚜껑의 구멍, 단순한 디자인일까? 볼펜을 사용하다 보면 가장 눈에 띄는 특징 중 하나가 바로 뚜껑 끝부분의 작은 구멍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구멍을 ‘디자인적 요소’ 혹은 ‘잉크가 마르지 않도록 하는 환기구’ 정도로 오해합니다. 실제로는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구멍이 있어야 잉크가 덜 마르나 보다” 또는 “잉크가 새지 않게 공기를 빼주는 기능일 거야”라고 말이죠. 하지만 진실은 훨씬 더 중요한 이유와 관련이 있습니다.이 구멍은 단순한 편의 장치가 아니라, 생명을 지키기 위한 안전 설계입니다. 세계적인 문구 브랜드인 BIC와 여러 볼펜 제조사들은 1990년대 이후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해 뚜껑.. 2025. 8. 21. 책 표지 날개의 진짜 용도: 디자인을 넘어선 실용성과 의미 오늘은 책 표지 날개의 진짜 용도에 대해서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1) 책 표지 날개, 왜 있는 걸까? 책을 읽다 보면 가장 먼저 손에 닿는 부분은 바로 표지입니다. 특히 양장본이나 반양장본 같은 제본 방식에서는 표지 양쪽에 날개가 접혀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독자들은 이 날개를 단순히 책의 디자인 요소 정도로 생각하거나, 혹은 왜 붙어 있는지조차 신경 쓰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어떤 사람들은 책 날개가 그냥 종이가 남아서 접어놓은 부분이라고 오해하기도 하죠.하지만 출판 업계에서 날개는 단순히 장식이 아니라 책을 더 편리하게 읽고, 책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의도된 장치입니다. 책 날개는 영어로 dust flap 혹은 dust jacket flap이라고 불리는데, .. 2025. 8. 21. 청바지 작은 주머니의 정체: ‘시계 포켓’의 탄생과 오늘 청바지 오른쪽 앞주머니 안쪽에 살짝 숨어 있는 아주 작은 주머니. 오늘은 청바지 작은 주머니의 정체인 시계 포켓의 탄생과 오늘에 대해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우리는 흔히 ‘코인 포켓(coin pocket)’이라고 부르지만, 사실 이 디테일의 원래 이름은 ‘시계 포켓(watch pocket)’이에요. 회중시계를 쓰던 시대의 흔적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 셈이죠. 이 글에서는 그 작은 주머니가 왜 생겼는지, 오늘날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리고 실용적으로 어떻게 쓰면 좋은지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1) 왜 청바지에는 작은 주머니가 있을까? 청바지는 19세기 말 미국 서부의 노동자·광부·카우보이들이 거친 환경에서 입기 위해 만들어진 작업복에서 출발했습니다. 당시 사람들이 시계를 주머니에 넣어 다니던 관습 때문.. 2025. 8. 21. 달팽이 달팽이는 복족류 연체동물 가운데 와선형의 패각을 가지고 육상, 수중에서 서식하는 동물을 가리키는 말이다. ‘달팽이’는 달팽이과에 딸린 명주달팽이(Fruticiola sieboldtiana)만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명주달팽이의 국명은 달팽이라고 한다. 패각이 없는 육상 복족류는 보통 민달팽이라 한다. 한자어로는 보통 와우(蝸牛)라 쓰였고 이유(螔蝓)·여우(蠡牛)·부라(蚹蠃)·산와(山蝸)·토우아(土牛兒)라고도 하였다. 우리말로는 달팡이 등으로 말하였고, 방언에는 골배이·달파니·달패이·할미고듸이 등이 있다. 달팽이의 뇌세포가 2개라는 속설이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달팽이는 여러 가지 뇌세포 중 2개의 뇌세포만으로 복잡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중앙일보의 기사에서 달팽이의 뇌세포는 2.. 2025. 8. 21. 이전 1 2 다음